요즘 하는 일과 흥미있는 일
·
주절주절
1. 요즘 하는 일최근 node.js를 사용한 백엔드와 docker, k8s, aws, ci/cd 등을 조금씩 학습 중이다. 물론 원래부터도 프론트엔드에 몰빵하기 보다는 여러가지 분야를 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고, 지금의 회사에 입사를 결정한 것도 여러 분야를 하기에는 소규모 스타트업이 유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컸었다. 이후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확실히 못을 박게 되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여러 방면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각을 넓히고 싶다. 프론트엔드만 알기에 모든 문제를 프론트에서 해결하려고 하고 있는데, 망치만 쓸 줄 알아서 모든게 못으로 보인다고 느꼈다. 충분히 고도화된 서비스에서는 기술을 미친듯이 깎는 것이 유저에게 가치를 전하는 것과 직결될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당장 서비스가 ..
Amplify로 Merge Request Preview 띄워주기(with Gitlab)
·
DevOps
0. TL;DRAWS Amplify를 사용해 MR(PR) Preview를 띄워주기Frontend 개발을 하지 않는 분들이 mr에서 변경된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병합 전, Cloud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Amplify에 서비스 배포하기Gitlab에서도 Commnet로 Preview 링크 띄워주기1. Why?현재 팀 내에 4명의 웹 개발자가 있지만, 나를 제외한 3분 모두 FE보다는 BE에 더 가까우신 분들이다. 고로 자연스럽게 리뷰는 코드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코드 리뷰는 다음 세 가지 케이스 중 하나로 진행되게 되었다.local에서 내가 작업한 branch를 pull해서 확인내가 직접 시연믿고 리뷰하지 않기(여유..
코드 가꾸기 - 테스트 코드
·
Side Project/Pennyway
1. Why?프론트엔드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 삼성청년SW아카데미 내에서 3차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그 때마다 10팀 씩, 총 30팀을 봤지만 한 팀도 테스트를 도입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현업에서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테스트 도입에 대해서 고민하면서, 그리고 직접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느낀 것은 보통 테스트를 작성할때의 비용이 테스트를 작성하지 않았을 때의 비용에 비해 훨씬 적다는 것이다. 프론트엔드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이 글을 읽고 테스트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면 좋겠다.  2. 코드를 가꿔야하는 이유는 내가 진행한 프로젝트 중 테스트를 도입한 첫 프로젝트이다. 정확히는 Mock API를 사용한 비즈니스 로직 테스트와 ..
개발을 시작하게 된 계기
·
주절주절
1. Intro...요즘 취준을 위해서 자주 면접을 다니는데, 늘 듣는 질문이 있다.철학과인데, 어떻게 전혀 상관없는 개발쪽으로 진로를 바꾸셨나요? 주위 친구들 중에서도 왜 개발을 시작했는지, 진로는 어떻게 결정하게 됐는지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아, 면접 준비라는 명목으로 블로그에 글을 작성해볼까 한다.2. 개발을 시작하게 된 계기내가 개발자로 진로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준(그리고 지금도 계속 주고 있는) 두 사람이 있는데, 이 글에서도 자주 등장하기에 미리 소개를 하고 시작하겠다.우리 영남대학교 철학과의 자랑, 유메타랩의 대표 서승완첫 수능 때 경북대 컴공과 붙어놓고 삼수해서 다시 경북대 컴공과 간 쿠팡맨 배찬우어떻게 시작했는지우선 보드게임을 먼저 소개해야 한다. 나는 영남대학교 독도 동아리 ..